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버라이어티한 푸드 비지니스6

백종원 덥죽 덥죽 사태로 풀어본 외식 메뉴 특허권 특허와 서비스표의 차이점 주변의 서비스업이나 식당을 둘러보면 간판을 통해 '이 식당은 특허를 받은 곳’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곳들을 흔히 접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특허번호까지 간판으로 노출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해당 업소의 이름을 서비스표로 출원해 등록을 받은 것이다. 즉 업소에서 특허번호라며 기재한 것은 서비스표 등록번호인 것이다. 이는 상표 및 서비스표와 특허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데 따른 것이고 이번의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도 메뉴 하나가 큰 이슈가 된 적이 있다. 우리가 아는 상표와 서비스표는 간단하게 말해서 해당 브랜드의 이름이나 제품명인 경우가 다수이다. 쏘나타, 온 가족 보험 등 이름도 서비스표에 속한다. 이에 비해 특허는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사상을 바탕으로 개발한 물건이나 방법을 가리.. 2020. 10. 31.
쿡 호텔 요리사 용어 차이 저번에 글을 쓰면서 업종별로 담당하는 업무가 달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예전에 흔하게 봤던 고깃집을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아무래도 호텔에서만 쓰는 직급 용어에 관해 이야기하는 편이 보다 현실적일 수 있어 아래의 내용으로 쓴다 불리는 용어 차이는 있지만 업무는 비슷하다 k-food.tistory.com/26 셰프와 실장의 차이 많은 사람들이 이제 셰프라는 단어에 보다 친근감을 가지고 있다 방송에서도 실력 있는 여러 명이 나와서 구수한 말솜씨와 실력 있는 요리 솜씨로 인정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전 글에서 예전� k-food.tistory.com 헬퍼-써드쿡-세컨쿡 정도인데 이건 절대적인 서양식 레스토랑의 경우이고 일식당, 한식당은 전혀 다른 용어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쉽게 이야기해 호텔처럼 고급 손님을.. 2020. 10. 3.
셰프와 실장의 차이 많은 사람들이 이제 셰프라는 단어에 보다 친근감을 가지고 있다 방송에서도 실력 있는 여러 명이 나와서 구수한 말솜씨와 실력 있는 요리 솜씨로 인정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전 글에서 예전의 지금은 찾기 힘든 회관이나 가든에 근무하는 다양한 직업에 관해 글을 쓴 적이 있다 이제 외근직인 빼박이와 숯돌이를 넘어선 내근직으로 들어가 보자 그중에 막상 현관에서 만나는 직업이 신돌이이지만 이 부분은 좀 소개하기가 애매해졌다 왜냐면 예전엔 좌식이 일반적인 식당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신발을 받고 오르내리기가 불편한 점이 있으며 특히 여자 직원들은 불편해한다 그래서 그 당시 신돌이는 지금은 찾기 어려운 직업이고 보통 케셔가 하거니 사장님이 잠깐 봐줬던 기억이 나고 지금도 시골의 나름 넓지막한 식당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2020. 10. 2.
중국집 사업 오토바이당 천만원의 진실 국어사전의 중국집은 크게 두 가지 일 수 있다. 중국에 있는 집 혹은 중국요리 전문점 그러보 보니 일식이나 이태리식은 전문점이 어울리는데 중국요리 전문점은 아무래도 어색하다 배달의 원조이자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있는 곳이 그냥 중국집이다 국내 대략 프랜차이는 수십만 개 이고 가맹점은 예전엔 삼십만 개 까지 있었다 최근 몇 년 사이 자영업자의 무덤이라는 다소 자극적인 방송이 나오면서 쉽게 창업이 어려워진 점도 있고 사실 성공률이 낮은 점도 맞는 이야기이다. OECD 선진국 통계를 많이 인용하지만 시회보장의 수준이 낮아 취업 아니면 창업의 길로 내몰리는 경우가 많다. 오늘은 누구나 아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라 여러 외식업종의 트렌드와 사업성을 분석하다 보면 유난히 정체를 알기 어려운 업종이 있는데 그게 바로 동.. 2020.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