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계속의 K FOOD6 K-Food 김치 수출 성공 시사점 김치의 수출 증가세고 예사롭지 않다 특히 매운 음식을 꺼리는 미국은 물론 유럽까지도 현지의 식재료 상품점을 통해 구매하는 건수가 많아졌다 우리가 그 동안 김치의 종주국이라도 말하지만 사실 세계 속에서 한식의 위상은 그리 높지 않았던 것인 현실이다. 일례로 가공식품은 일본의 식품이 우유만 봐도 훨씬 맛이 있다 비록 살균의 차이이긴 하지만 말이다. 이에 바해 한국의 매운맛이 기반이 되는 소스류 예를 들어 간장 고추장 된장 등은 짜고 매운 소스의 일종이고 이런 소스류로 만든 요리는 쉽게 접근하기 어려울 만큼 맵고 얼얼했다 진밥을 먹는 쌀문화가 있는 중국 한국 일본을 통해서는 김치는 식재료도 비슷했고 구하기도 좀 쉬워서 대중화가 쉬웠다. 그다음 줄 매운 요리가 익숙한 나라로 확대됐고 그러던 중에 불붙은 K-PO.. 2020. 9. 29. K-Food 한국식품 반도체 김 김은 한국 식품이 낳은 불세출의 스타이자 상품이다 일본어로 노리 일본어로 seaweed라고 불리는 김치를 뛰어 넘는 식품의 종주국이다 그 이유는 바로 김이 전셰계적으로 중국과 일본에 지역의 일부에서도 생산되지만 중국은 바다가 오염되어 상품성이 없고 일본은 제조원가등이 높고 품질이 한국보다 못해 한국김을 전세계에서 생산량의 49% 점유하지만 맛도 최고로 알아주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은 참기름에 발라먹는 문화가 아니라 그냥 재래식 김으로 먹는 식문화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일본김은 도톰하고 심심한 맛으로 먹는다. 그래서인지 반찬보다는 요리에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한국은 김은 짭조름하고 고소한 맛으로 반찬도 되고 맥주안주로도 좋은 아이템이다. 김은 글자 한자이지만 용도는 참 다양하다 우리나라에 냉동 참치를 먹기.. 2020. 9.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