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속의 K FOOD

세계1위 넘보는 k-food 라면의 유래와 시장성 그리고 미래

by 인스타컬리 2024. 3. 7.
반응형

라면의 유래

K-라면: 혁신적 맛으로 지구촌 시장 장악 중 라면의 역사적 배경은 삼양라면이고 삼양식품에서 제조하는 라면입니다. 이 라면은 1963년부터 생산 및 판매되고 있으며, 한국 최초의 라면으로 탄생했습니다

 

1963년 9월 15일**, 삼양식품 창립자인 전중윤 회장은 일본의 묘조식품으로부터 라면 제조 기술을 전수받아 처음으로 **삼양라면**을 만들어 팔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라면의 가격은 10원이었는데 처음에는 먹는 방법이 생소해서 판매가 부진했지만, 무료 시식회에서 그 맛을 인정받아 곧 서민들의 음식으로 환영받게 되었습니다

 

삼양라면은 한국의 라면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성공 비결은 지속적인 혁신과 차별화된 제품 개발에 있습니다.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삼양라면을 사랑하며 즐기고 있습니다.

 

신라면의 성장 특히 미국시장에서 신라면의 인기는 코로나 시대에 폭발하여 이제는 미국 내 시장점유율 1위를 목표로 공장을 추가하고 공격적으로 영업하고 있습니다 면의 성장은 그야말로 드라마틱합니다.

시장성

특히 **‘신라면’**은 출시 5년 만인 1991년부터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라면의 성공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확고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라면의 미래 한류 열풍과 K-콘텐츠의 성공적인 확산으로 K-라면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라면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며, 해외에서도 농심, 삼양식품, 그리고 오뚜기와 같은 한국 라면 브랜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제 해외 시장에서도 치열한 점유율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세계 라면 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으로 416억 달러로, 2017년 대비 약 21.3% 성장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에는 527억 달러로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농심 미국 실적

 미래

주요 수출품인 라면 시장은 농심, 오뚜기, 삼양식품 등 주요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들은 차별화된 매운맛 등 독보적인 제품을 개발하여 세계인들이 즐기는 요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라면 시장에서 가공식품이 주도하며, 라면, 스낵, 소스류, 쌀가공식품 등이 전체 수출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류 열풍과 드라마, 영화 등으로 인한 K-라면의 인지도 상승은 해외 시장에서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소스류와 다른 기타 가공식품으로 확대되어 최종 신선식품에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신라면 수출품

 

대표적인 다이어트 식품인 쌀가공품, 만두등이 대표적인 K-food입니다. 우리가 아는 김치는 사실 유통 물류의 어려움 제조비법의 계량 단순화가 어려워 실제 글로벌 스탠더드 k-food로는 분명한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조기술의 발달 물류혁신 등을 통해 이런 라면을 비롯한 가공식품의 k-food화는 k-pop의 매니아충의 확대 맛의 세대 전수를 통해 지속 성장할 것입니다.

반응형